패스트캠퍼스 영상편집 인강을 들으지도 이제 1주일!
자기계발 챌린지 아니었으면,, 아마 또 수강안하고 놀고있었을텐데
주말, 1시간이라도 공부할 수 있게 해주는
이 챌린지에 ㅋㅋㅋ 새삼 감사하며! 오늘도 학습기록을 남겨보아요!
사실 핸폰으로도 수강할 수 있찌만,
그래도 데탑앞에 앉아야.. 더 집중할 수 있는 1인.
책상 위 너무 더럽..ㅋㅋㅋㅋㅋ
지난회차에 유튜브 강의를 다 들었고, 영상제작 정보 이론 수업으로 들어갔다.
영상 제작 정보 이론은 영상을 제작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는데
1) 용어와 개념 / 2) 영상 제작과정 / 3) 영상 제작 시 알면 유용한 정보 / 4) 소스 얻는 법 / 5) 프리셋과 BGM 사용
이렇게 이루어져있다.
[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] 영상편집 인강 자기계발 챌린지 6회차 미션
패스트캠퍼스 인강 들으며 첫 주말이다. 주말에 강의를 보게되는 기특함 ㅋㅋㅋㅋ 5주 챌린지가 동기부여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여실이 깨달음 ㅋㅋㅋ 패스트캠퍼스 영상편집 인강 1장인 유튜��
bhnx52.tistory.com
지난회차에서 픽셀과 해상도에 대해 들었고
이어서 들은 3개 강의는 아래!
03. 영상제작에 꼭 필요한 정보 - 02. 화면비율
04. 영상제작에 꼭 필요한 정보 - 03. 화면 크기 & 화질
05. 영상제작에 꼭 필요한 정보 - 04. Frame & FPS
용어에 대한 설명이어서 금방 들을 수 있지만
소홀히하면 안될 부분이니까
화면 비율이 생겨난 유래와 주의점
[화면비율 : 가로 세로의 비율]
1) 키네토스코프
: 필름을 사용하던 시절, 원통형 필름대신
필름을 톱니바퀴에 돌려서 규칙적으로 돌아가게 하는 방식
(4개의 구멍당 사진 1개 프레임을 배치해서 영상 재생)
4:3비율 (1.33:1 풀프레임)
- TV비율도 동일함
TV가 발전하면서 영화 시장이 위기를 겪자
새로운 시스템 발명
2) 시네마스코프 : 아나몰픽렌즈
(세로에 비해 가로를 압축하는 성질)
2.35:1 (가로:세로) - 와이드 스크린
그래서 TV와의 차별점을 두기 위한 것
TV와 영화가 발전함에 따라 비율도 달라짐
16:9(1.78:1) TV발전 때 만들어진 비율
DVD, HDTV, UHD 등
와이드스크린 표준 규격
- 1.33:1과 2.35:1의 평균 수치이다.
영상제작에 꼭 필요한 정보 - 03. 화면 크기 & 화질
디지털 작업은 픽셀로 그래픽을 만들기 때문에 해상도가 작은 이미지를 확대하면, 깨진다.
80인치 TV / 50인치 TV 둘 다 FULL HD 지원하는 TV 일 때,
만약, 같은 해상도의 hd정도 이미지를 두 화면에 뿌려주면 80인치 tv에서 더 깨져보이게 된다.
1인치 안에 들어가는 픽셀 수가 50인치의 모니터가 더 많게되므로.
* PPI (Pixel Per Inch)
1인치 안에 들어가는 픽셀의 갯수
-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클 수록 해상도가 좋은건 아니고,
PPI가 높을 수록 더 선명한 디스플레이이다.
100인치 TV에 QHD, 8K 영상으로 본다면 정말 역동적이고 좋겠지만
2019년에는 보편화되지 않은 스펙.
현재는 방송영상이 Full HD (1920*1080)이 보편적이다
디스플레이 지원 해상도는
4k (3840*2160)을 지원하고있으므로
TV가 오버스펙일 확률이 크다.
국내는 영상도 4k를 제작하고는 있지만
해외는 그렇지 않은 곳도 많음.
========================
[영상과 디스플레이 비율]
영화는 TV보다 웅장함을 주기 위해
와이드 스크린으로 영상을 만든다.
1.85:1 ~ 2.35:1
완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맞춰서 재생을 하는게 낫다. 그래서 Square Pixel 1:1로 영상을 제작한다.
화질 (Picture Quality)
- 컬러밸런스, 색재현성, 콘트라스트, 선예도, 보여줄 정보량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한 총체적인 품질
*주관적/
*촬영한 카메라, 디스플레이, 영상 제작물 등에 영향
영상제작에 꼭 필요한 정보 - 04. Frame & FPS
* 프레임(Frame)
동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 한장 한장의 단위
* FPS
1초에 재생되는 프레임 수
프레임 : 이미지 1장
영상은 이미지1장이 이어져서 되는 것이므로, 초당 프레임수가 클수록 부드럽게 움직인다.
*많이 사용되는 FPS
15 프레임 / 24 프레임 / 30 프레임
60프레임 / 120 프레임
24프레임 : 뮤비나 영화
30프레임 : 더 부드럽게 보이는 콘텐츠
(3D게임, 총싸움 게임 등은 60이상 사용)
우리나라 방송에는 29.97프레임이 사용됨
*FRAME RATE: 29.97
=23.97 FPS = 30P
*30P라고 말하는 이유에 대해서 애프터 이펙트 컴포지션을 만들 때,
Drop Frame 과 Non-Drop Frame 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는데, 이건 좀 어려워서 다시 들어봐야겠다.
= 결론은
우리나라 방송 (NTSC) 영상 규격이므로
29.97 프레임 / Drop Frame 설정해야한다.
= 방송에 내보내는 용도가 아니라면 크게 상관없고, 이후 에펙 수업에서는 24fps 또는 30fps 를 사용할 예정
(방송용이 아니라면 드랍프레임, 논드랍프레임 무관한가? 싶다)
패스트캠퍼스 - 커리어 성장을 위한 최고의 실무교육 아카데미
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,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'업(業)'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.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.
www.fastcampus.co.kr
'패스트캠퍼스 5주 챌린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] 영상편집 인강 자기계발 챌린지 9회차 미션 (0) | 2020.06.02 |
---|---|
[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] 영상편집 인강 자기계발 챌린지 8회차 미션 (0) | 2020.06.01 |
[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] 영상편집 인강 자기계발 챌린지 6회차 미션 (0) | 2020.05.30 |
[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] 영상편집 인강 자기계발 챌린지 5회차 미션 (0) | 2020.05.29 |
[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] 영상편집 인강 자기계발 챌린지 4회차 미션 (0) | 2020.05.28 |